국내 인공위성 기업이 자체 위성과 AI 위성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해 미국의 공습을 받은 이란 핵시설의 공정동 중 1개 이상이 완전 파손됐다는 분석결과를 내놨다. 위성 스타트업 텔레픽스는 지난달 22일 미국의 미사일 폭격을 받은 이란 이스파한 핵시설 위성영상과 데이터 분석 보고서를 4일 공개했다. 이 회사는 자사 AI 초소형위성 ‘블루본’과 위성영상 분석 AI 에이전트 ‘샛챗’을 처음으로 활용해 공습 전후 변화를 비교·분석했다. 공개된 위성 영상은 공습 전인 지난달 14일, 공습 후인 지난달 22일 미국 플래닛사의 플래닛스콥이 촬영한 영상과 복구가 일 주식매각 부 진행된 지난달 28일 블루본이 촬영한 영상 등 총 3장이다. 이 영상은 AI 기술을 기반으로 영상 간 비교를 통해 변화를 탐지하고, 분석 내용을 리포트 형태로 AI가 스스로 자동 생성한 것이다. 분석 결과, 핵시설 주요 공정동 3∼4개 동 중 최소 1개 동은 완전히 파손됐고, 다른 1개 동은 부분 파괴된 것으로 추정됐다. 22일에는 약 1000㎡ 지붕 신용불량자대출 면적이 검게 그을렸으나 28일에는 완전 소실되거나 철거된 일부 지붕 사이로 내부 바닥이 노출돼 위성 상으로 밝게 반사되는 것이 탐지됐다. 이에 따라 지붕 손실률은 90% 이상으로 추정되며 잔해 제거는 60% 진행된 것으로 텔레픽스는 분석했다. 또한 지름 10m 크기 흑색 원형 자국이 발견됐고 6일 뒤 회색과 갈색이 섞인 토양으로 변색됐다. 이는 연소 종료 디딤돌대출 취득세 후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텔레픽스의 AI 위성 ‘블루본’으로 촬영한 이란 이스파한 핵시설 위성영상. 텔레픽스 제공
북동쪽에 위치한 보조동과 저장고 중 가로 55m, 세로 30m 규모로 추정되는 로또복권 대형 구조물 외벽에는 세 줄의 흑색 수직 줄무늬가 뚜렷하게 관측됐다. 28일 촬영에서 동일한 위치의 줄무늬는 명도가 20% 증가하고 청색 톤이 강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그을음이 빗물 등에 의해 씻겨 나갔거나 외벽에 임시 차양물이 설치돼 반사율이 달라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텔레픽스는 설명했다. 핵시설 내 전력 및 냉각 파이프라인은 서쪽 경계도로를 따라 매 국민은행 대출금리 설돼 피해를 피한 것으로 보이고, 지하 시설이나 원심분리기가 위치한 실내 구조물에 대한 피해 여부는 확인이 불가능한 상태다. 조성익 텔레픽스 대표는 “이번 분석은 촬영 지역 선정부터 위성영상 수신, 분석, 보고서 작성까지 전 과정에 자체 개발한 AI 위성과 AI 기반 위성 운영 설루션이 활용됐다”며 “아직 블루본 위성이 초기 운영 및 최적화 단계임에도 세계 최초로 AI 큐브위성으로 고품질 위성영상을 촬영하고 AI 에이전트가 위성영상 분석 보고서까지 자동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실제로 입증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텔레픽스의 블루본은 100TOPS(초당 100조 회 연산) 엣지 AI컴퓨터와 초점 조절 특허기술이 적용된 광학탑재체 등을 장착한 국내 최초 AI 초소형 위성이다. 이준기 기자 bongchu@dt.co.kr